
최성현 저 | 조화로운삶 | 2006-08-10 | 254페이지 | ISBN:8995757779 정가 : 9,800원
● 책설명
이 책은 저자가 온몸과 영혼의 무게로 자연농법의 시행착오를 겪으며 산속의 이웃들과 싸우고 화해하며 자연농법으로 흙에 바탕한 자급자족의 성공적인 경제를 이루며 산 스무 해의 온전한 기록이다. 여기에서 최성현은 일생을 걸고 일관되게 바래왔던 세계를, 그리고 자신이 중요하게 여기는 모든 목숨 가진 것의 바탕인 공기와 물과 땅과 숲을 지키기 위한 자신의 고민과 실천, 거기서 얻는 보람과 기쁨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한 포기 풀을 존경하고, 벌레 한 마리에게서 배우는 삶을 통해 그는 삼라만상이 모두 신성한 존재이며 그러한 신성함에 대한 감각을 회복하지 않는 한 우리의 미래는 없다는 일관된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 저자소개 : 최성현
강원도 출생. 동국대 대학원에서 노장철학을 전공하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철학종교 연구실에서 근무했다. 도시 생활을 접고 지금 사는 산으로 거처를 옮긴 것은 지난 1988년. 그는 산에서 하루 가운데 반은 농사를 짓고, 남은 반은 공부를 하거나 글을 쓰고, 번역을 한다. 산문집 〈바보 이반의 산이야기〉〈좁쌀 한 알〉 옮긴 책으로 〈짚 한 오라기의 혁명〉〈여기에 사는 즐거움〉〈잡초의 전략〉등 다수가 있다.
● 책내용 소개
쌀만으로 우리는 행복해 질 수 없다. 영혼의 배가 부르지 않는 한 쌀이 창고에 가득해도 나는 거지다. 씨앗을 모아 두고. 모내기를 하고, 물 관리를 하고, 잡초를 베고, 벼를 베고, 탈곡을 하고, 밥을 먹는 그 순간순간 맑게 깨어 있는 것이 거지에서 벗어나는 길임을 오늘 종일 벼를 베며 알았다. ―더 바랄 게 없는 산속의 삶(p.150)
우리 집에는 세가지 배추 밭이 있다. 하나는 사람, 하나는 배추흰나비 애벌레, 다른 하나는 토끼를 위한 밭이다. 땅을 갈지 않고 배추 심을 곳만 파고 배추 모를 심는 우리 배추 밭에는 배추만이 아니라 온갖 풀이 다 있다. 사람의 몫은 세 알 가운데 한 알이다. 대단한 양보다. 그렇게만 된다면 사람만이 아니라 새와 벌레까지, 이 세상의 모든 것이 서로 가진 것을 나누며 사이좋게 사는 새로운 세상이 펼쳐질 것이다.(중략) 지금 인류는 전 지구적으로 생태 농업이라는 이름 아래 다른 생명체들과 평화롭게 공생해 가는 방법을 조금씩 익혀 가고 있다. 벌레만 죽고 인간에게는 아무런 피해도 없는 그런 농업은 없다는 것을 비로소 깨닫기 시작해 가고 있는 것이다.―머리맡에 콩 여섯알을 두고 잠들다(p.22)
텃밭에 나와 강물 소리를 들으며 무심히 일을 하다 보면 어느새 강물에 모래가 씻기듯이 가슴속이 깨끗하게 비워진다. 감자를 심고 모내기를 한다. 아무도 모를 것이다. 비로소 내가 안도의 한숨을 쉬고 있는 것을 이해해 주는 사람 없어도 어쩔 수 없다. 내게는 달리 길이 없다. ―더 바랄 게 없는 산속의 삶(p.150)
벼 타작을 하던 날, 고맙게도 날씨가 좋았다. 그날 내가 썼던 탈곡 도구는 20년쯤 전에 주로 사용되던 발탈곡기였다. 이제는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기계이다. 불행하게도 다음 날은 날이 흐렸고, 뛰어다니며 비설거지를 마치고 하릴없이 날이 좋아지기를 기다리자니 속이 탔다. 그렇게 되면 한 해 농사가 망가진다. 고맙게도 그날은 바람도 나았다. (중략) 돈으로 따지면 어리석은 일이다. 그래도 나는 해마다 벼농사를 빼먹지 않을 것인데, 그 이상의 기쁨이 그 속에 있기 때문이다. 봄부터 여름까지 언제고 왁자한 개구리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도, 여름 내내 밤마다 반딧불 구경을 할 수 있는 것도 논농사 덕분이다. 싱싱하게 자라는 벼는 또 얼마나 내 눈길을 사로잡았나. 그것이 고개를 숙이며 누렇게 익어 가는 모습을 보며 나는 또 얼마나 흐뭇했던가. 그런 것을 어떻게 돈을 주고 살 수 있으랴. 논에 미꾸라지를 사다 넣던 날 내 가슴은 또 얼마나 설레었던가. 그 뒤로 논을 볼 때마다 저기 그 미꾸라지들이 살고 있겠지 하는 생각에 나는 행복했다. 어떻게 이런 기쁨을 돈을 주고 살 수 있으랴!
올 한해도 우리는 당신 품 안에서 잘 살았습니다. 저는 올 한 해 진정한 뜻에서 행복한 사람이 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다음 세 가지였습니다. 첫째는, 제가 이미 부자인 것을 아는 것이었습니다. 둘째는, 남을 위하는 것이 저 자신을 위하는 길임을 분명히 알고 그렇게 사는 것이었습니다. 마지막은, 만물 속에서 신을, 한울님을 뵙는 것이었습니다.
―가을에 하루는 잔치를 하자(p.36)
현금 수입을 위한 일과 아울러 가족이 먹을 농사를 병행하는 사람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세상은 살기 좋은 곳이 될 것이다. 그런 삶은 먼저 현금 수입을 위한 일 그 자체에 여유를 줄 것이고, 어려움이 있더라도 정말 자신이 하고 싶은 일, 자신에게나 세상에나 바람직한 일을 긴 안목에서 해나갈 수 있는 힘을 우리에게 주기 때문이다. ―반농반X(p.54)
불의 신이시여 비의 신에게 전해 주세요. 다음 주에는 벼 타작도 해야 하고, 호박도 더 이상 그냥 둘 수 없어요. 더 늙기 전에 썰어 널어 말려 들여야 해요. 제가 호박 좋아하는 거 잘 아시지요. 그러니 다음 주에는 참아 달라고 비의 신에게 전해 주세요. 잊으시면 안 돼요. ―알고 보면 사이좋은 물과 불(p.175)
식물이건 동물이건 우리는 모두 해의 종족이다. 우리는 모두 다시 낮이 길어지며 햇살을 마음껏 받을 수 있는 날이 올 때까지 제 힘껏 갈무린 태양 에너지로 추위를 견디며 겨울을 나야 하는 것이다. 간혹 눈보라를 헤치고 손님이 오면 그 또한 손님이라는 이름의 햇살이다. 그는 아궁이 불 앞에 앉아 그가 해온 여행 이야기를 내게 들려 줄 것이다. 햇살은 그를 통해, 우리를 통해 여행을 하고 있는 것이다. ―햇살 거두어들이기((p.106)
● 출판사 리뷰
“나의 종교는 한 포기 풀, 한 알의 쌀”
최성현이 사는 산 입구에는 ‘바보 이반 농장’이란 작은 문패가 걸려 있다. 그에게 톨스토이의 은 경전과 같은 책으로 가능하다면, 그는 그 나라의 주민이 되어 살고 싶어한다. 그런 그이가 자연농법을 실천하기 위해 산으로 거처까지 옮겼으니 그의 농사 규모는 크지 않다. 벌레와 풀을 형제처럼 여기는 자연농법의 방식으로 자급 정도의 논농사와 밭농사를 하고 있다. 아울러 꽤 큰 뽕나무밭을 가꾸고 있다. 거기서 나오는 오디로 발효음료를 만들어 시장에 내고 있다. 그는 화학 비료나 농약을 쓰지 않음은 물론 땅을 갈거나 벌거숭이로 만드는 일은 절대 없다. 그런 방침 덕분이리라. 그의 논에는 절로 생긴 미나리 밭이 있고, 거머리와 미꾸라지와 야생 달팽이와 소금쟁이 등 수많은 수생 동물이 산다. 밭에도 먹을 수 있는 풀이 많아 밥상에는 늘 야생초가 반이다.
이 책은 흙에 생활에 깊이 뿌리박은 저자 자신의 극히 구체적이고 생동적인 체험에서 우러나오는 것으로 그만큼 큰 감동과 설득력을 갖는다. 특히 바보 이반 농장 주인다운 농사법을 통해 문득 눈이 떠지는 자연의 섭리, 그 속에서 만나는 우주, 재미와 행복. 최성현이 부르는 삶에 대한 찬가는 독자로 하여금 진정한 행복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다.
<산에서 살다>에서 최성현은 말한다. “ 자연의 삶을 따르라! ”
다음은 산에서 최성현이 하는 일이다. 하루 가운데 반은 농사를 짓고, 남은 반은 공부를 하거나 글을 쓰고, 번역을 한다. 오래 걷거나 앉아 있는 일도 그가 즐기는 일 가운데 하나다. 예컨대 반농반X의 삶의 살고 있다.
왜 지금 최성현은 “자연의 삶을 따르라!”고 말하는가? 그는 시를 통해 고백한다. 죽을 때까지 자신이 먹을 것을 손수 농사 지어 먹으며 사는 것이 고도 수행이 되는 삶을 살고 싶어한다. 벌레나 풀과 싸우지 않는 농사. 농사가 곧 공부로 이어지는 농사. 그런 나날을 살고 싶어한다. 때로 길손이 들르면 따뜻한 밥 지어 대접하고 길손을 통해 하시는 한울님의 말씀을 듣고, 죽는 날까지 딱딱해지지 않도록 누구에게나 풀한 포기 벌레 한 마리에까지 늘 고개 숙이며 살고 싶어한다. 가진 것은 도시만은 못해도 마음이 편하고, 육체노동이 있는 삶. 조용히 내면의 뜰에 빗자루질 하며 사는 삶. 한 포기의 풀을 존경하고, 벌레 한 마리부터도 배우는 삶. 홀로 농사를 지으면서 글을 쓰거나 번역을 하며, 자신을 깨우는 일에 힘쓰며 사는 산 생활을 통해 무엇이 우리의 삶에 진정한 행복을 가져다주는지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이 사는 곳의 동식물의 종류가 다양해지는 것을 무엇보다 큰 보람으로 여기며, 자신의 삶이 그런 쪽으로 도움이 되고, 바뀌어 가기를 바란다. 그가 학수고대하게 바라는 것이 있다면, 아래 절 스님이 보았다는 장수하늘소를 친견할 수 있는 날이다. 그가 사는 곳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까막딱따구리나 솔부엉이와 같은 새가 살고 있기 때문이다.